이차잉여란 해(근)를 가질 때, 정수 a을 법 m이며, 해(근)를 가지지 않을 때 정수 a을 법 m으로 한 이차비잉여 라고 한다.
이차잉여에서 집합 Z_m* 의 원소를 제곱해서 갑을 구할 수 있다.
이를 계산하기 위해선 오일러의 판정기준이 있다
홀수인 소수 p와 (a, p) = 1인 정수 a에 대하여 성립한다.
Ⅰ) 정수 a가 이차잉여일 때 필요충분조건은 a^ p-1/2 ≡ 1(mod p)이다.
이때, 합동식 x^2 ≡ a (mod p)에서 꼭 두 개의 해를 가진다.
Ⅱ) 정수 a가 이차비잉여일 때 필요충분조건은 a^ p-1/2 ≡ -1(mod p)이다.
이차비잉여에서 필요충분조건이란 홀수인 소수를 뜻한다.
이때, 합동식 x^2 ≡ a (mod p)에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.
※이차잉여를 계산할 때 기약잉여계를 바탕으로 계산해야한다.
'Math > Crypto 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수론], 원시근 (0) | 2023.11.24 |
---|---|
[정수론], Fermat와 Euler 정리 (1) | 2023.11.15 |
[정수론], 일차합동식 (0) | 2023.11.10 |
[정수론], Wilson의 정리 (0) | 2023.11.08 |
[정수론], 역원 (3) | 2023.11.06 |